국토부 "내년부터 공공 전세주택 1.8만 호 공급"...전세난 해법될까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5억 6069만 원, 전달 대비 2,390만 원 상승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0으로 전년동월대비 0.6% 상승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5월 -0.3%로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1.0%를 기록한 뒤 다시 두 달째 0%대를 유지했다.
집세 지수는 104.57로 전년동월대비 0.6%,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2018년 6월(0.6%)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한 수치로, 이 중 전세는 전년동월대비 0.8%, 월세는 0.4% 올랐다. 특히 전세 시장은 극심한 매물 부족과 전셋값 상승세를 동시에 겪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1월 전국 주택 종합 전세가격은 0.66% 올라 2013년 10월(0.68%) 이후 최대 오름폭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3년 10월(0.68%) 이후 7년 1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0.74%) 및 서울(0.53%), 지방(0.58%) 모두 전셋값이 상승했다.
또 같은날 발표된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 6069만 원으로 전달(5억 3677만원)보다 2390만 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8632만원 올랐는데,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8∼11월 4개월 동안 상승액이 전체 상승액의 71.2%(6146만원)에 달한다. ㎡당 평균 28만 4000원 오른 것으로 평당(3.3㎡)으로 환산하면 평균 93만 7000원 오른 셈이다.
지방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않다. 상반기까지 비교적 안정적이던 도 단위 지역도 최근 가파른 상승폭을 보인다.
경기도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 3억 1066만 원으로 전달보다 1545만 원 오르며 조사 이후 처음 3억 원을 돌파했다.
지난달 30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192.3으로 집계됐다.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공급 부족 정도를 1∼200 사이 숫자로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낮을수록 수요 부족을 의미한다. 2015년 10월 이후 올해 10월 5년 만에 190선을 넘은 뒤 두 달째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임대차 3법이 본격 도입된 8월 이후 세입자들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전세 계약을 2년 연장하며 시중 물량이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또한 전월세상한제로 전셋값을 5% 이상 올리지 못하자 집주인이 보증금을 미리 올려받으며 전셋값도 급등했다.
정부는 이러한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2년 동안 ▲공실 공공임대 ▲공공 전세주택 ▲신축 매입약정 ▲비주택 공실 리모델링 형태로 11만 4000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전세 가격 부담을 줄이고 빠르게 물량을 공급한다는 점은 의미가 있지만 비아파트 유형과 소형 주택이 많은 부분은 한계점으로 평가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12월까지 3만9천호의 공실 공공임대에 대해 입주자를 조속히 모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12월까지 입주자를 모집하는 3만 9000호 공실 공공임대 중 수도권은 1만 6000호, 서울은 5000호가 포함된다.
공공 전세주택은 공공주택사업자가 도심 내 다세대‧다가구 및 오피스텔 등 신축주택을 매입해 중산층 가구에게 한시적(2021년~2022년)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입주자는 소득‧자산 기준을 배제하고 무주택세대 중에 선정하며, 경쟁이 발생하는 경우 무작위 추첨을 통해 최종 입주자를 선정한다.
선정된 입주자는 시중 전세가(보증금)의 90% 이하로 최대 6년간 거주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정부는 공공 전세주택의 호당 평균 지원단가를 서울 6억 원(주택 가격이 높은 지역은 최대 7~8억 원), 경기‧인천 4억 원, 지방 3.5억 원으로 책정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부터 공공 전세주택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관련규정을 마련하고, 내년 상반기 전국 3천호(서울 1천호), 하반기 전국 6천호(서울 2천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번 부동산 대책에 관해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급하게 노력은 한 것 같다"면서 "그러나 실제 시장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 생각한다. 공급되는 물량 자체가 적고 입지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효과는 미비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부동산 시장에 관해서 심 교수는 "경제학 교과서를 빗대어 말하자면 중장기적으로 부동산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라며 최근 벌어지고 있는 전세난이 내년까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을 내놨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세난, 국토부, 공공임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