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점에 임박한 선로용량 예산 마련부터

▲ © 이형근 기자

(팝콘뉴스=이형근 기자)KTX가 들어오면서 철도는 다시 살아났다.

KTX는 고속도로에 밀리던 철도를 다시 한 번 살려냈고, 고속도로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승객을 수송한다.

특히 녹색성장이라는 후광효과까지 더해지면서 KTX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국회의원들도 지자체장들도 KTX 정착역유치를 위해 발 벗고 나서고, 법률 개정안까지 만들어 국회에 제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KTX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에 대해 얼마나 고심하고 있는지 궁금할 따름이다.

자신의 지역구에 KTX 정착역 유치하기 위해기본적인 설비는 나몰라라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앞선다.

기본적 설비 문제를 꼽자면 대표적으로는 선로 용량 문제로 이를 고민하지 않고 KTX를 유치만 하려고 한다면 지속적인 민원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청량리~망우역 구간 4.6km는 지체 운행으로 악명이 높은 곳이다.

강원권과 경북지역으로 가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 열차 수요가 늘어나며 감당을 하지 못하다가 평창올림픽이 개최되면서 경강선KTX가 개통되자 문제점이 불거졌다.

화물열차를 시작으로 경의중앙선ㆍ중앙선ㆍ경춘선ㆍ경강선KTX 159편이 이 구간을 지나가면서 청량리~망우역 구간은 지난 2001년부터 선로 증설의 필요성이 요구됐지만 예산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코레일은 열차 포화 상태에서 1조 원대의 예산을 확보해 복선으로 선로를 증설해야 하는데도 예산 마련이 쉽지 않다.

지난 2016년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사업’으로 중앙선 용산~청량리~망우 선로의 복선화를 추진했지만 서류상일 뿐 현재까지도 본격적인 사업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과밀구간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수서고속철도(SRT)가 출범하면서 평택~오송구간도 병목구간으로 등극했다.

정부가 지난 2011년 SRT를 출범시킬 때 과연 이런 사태를 예상하지 못했을까? 라는의문이 제기된다.

SRT 사업이 ‘철도사업의 메기효과’를 노렸다면 재정 사업으로라도 병목구간 해소에 나섰어야 하는 게 아닌가? 라는 것이다.

결국 청량리~망우역 구간에 대한 국민들의 불편은 ‘청와대 국민청원’으로 이어졌고, 평택~오송구간은 더 많은 열차를 편성하고 싶어도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떤 사업이건 때가 있는 법인데 평택~오송구간은 최소한 수서~평택구간을 건설하면서 병행해서 추진됐어야 하며, 청량리~망우구간은 하루라도 빨리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